홈
소개
출간도서
커뮤니티
공지사항
경제이슈&상식
학습실
학습에 앞서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자료실
기출문제
그래프 모음
문의
로그인
회원가입
홈
소개
출간도서
커뮤니티
공지사항
경제이슈&상식
학습실
학습에 앞서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자료실
기출문제
그래프 모음
문의
로그인
회원가입
통합 검색
통합 검색
미시경제학
알기 쉽게 풀어 쓴 미시경제학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번호
제목
(내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7
[제2장 미시경제학] 02. 미시경제학의 구조
이번 글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배워나갈 미시경제학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볼 것입니다. 아래 그림은 이 책의 구성과도 일치하므로, 미시경제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경제학은 그 특성상 용어와 그래프로 인해 학습 도중 방향을 잃기 쉬운데요, 그럴 때마다 아래 내용들을 떠올리면서 학습해나가시길 바랍니다.미시경제학의 전체적인 구조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다수의 경제학 전공서도 위와 유사한 구성을 따른다. 특히 연결선을 주의 깊게 살펴보도록 하자.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에 이어 다룰 이론이 수요·공급이론입니다. 수요·공급을 통해 우리는 수요자, 공급자, 시장구조(균형)를 접하며 이를 바탕으로 뒤이어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시장이론을 학습합니다. 이러한 미시경제학의 영역이 점차 확장된 것이 지금의 구성에 이릅니다. 제1편 경제학• 경제학을 처음으로 접하는 단계 • 선택, 기회비용, 희소성 등 개념들이 여기에 해당함 • 전반적인 구조와 흐름을 이해하는 것에
관리자
2025-04-02
31
6
[제2장 미시경제학] 01. 미시경제학
첫 장에서 우리는 “경제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갖고 이에 관련된 주요 개념들을 알아보 았습니다. 이번에 살펴볼 내용은 바로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미시경제학에 관한 것입니다. 사실 앞서 다뤘던 내용들은 미시경제학이라기보다 경제학 전체(미시경제학+거시경제학, 경제학 전반에 걸친 기본적 개념)에 가까웠던 게 사실이죠. 그렇기에 우리는 미시경제학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미시경제학만이 갖는 주요 특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개별 시장의 선택과 가격 결정 분석 등을 기초로 구체적인 경제 행위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학문 • 미시경제학은 가계와 기업 등의 개별경제주체들 간의 행위와 상호영향 등에 따른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 각 시장구조에서의 균형점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하고 연구한다.• 시장은 수요자와 공급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수요자와 공급자는 특정한 시장구조 내에서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미시경제학의 주된
관리자
2025-04-01
26
5
[제1장 경제학] 05. 생산가능곡선
그동안 우리는 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 다룰 생산가능곡선 또한 기본 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서 다룬 내용과 비슷한데요. 다만 한 가지 다른 점은 그 형태가 그래프라는 데에 있습니다. 사실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 ‘그래프’라는 이유만으로 생산가능곡선을 어렵게 느끼곤 합니다. 그런데 우리 경제학은 대다수의 이론을 그래프와 수식으로 설명하고 있습 니다. 좋든 싫든 그래프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앞으로 다룰 그래프 대부분이 생산가능곡선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한번 학습할 때 정확히 정리해두면 진행이 한결 수월해집니다. ‘X’와 ‘Y’라는 두 축, 그리고 곡선의 형태 등 하나하나에 신경 써가며 읽어볼 것을 권합니다.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Possibility Curve, PPC)경제 내의 모든 생산요소를 가장 효율적으로 투입했을 때 최대로 생산 가능한 X재와 Y재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생산가능곡선의 일반적인 형태경제활동
관리자
2025-03-31
24
4
[제1장 경제학] 04. 경제용어
경제학에서는 다양한 그래프와 수식, 그리고 경제용어가 등장합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알아 두어야 할 내용만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합니다.경제모형경제 변동의 정도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추정하여 놓은 도식. 그래프, 방정식 등이 해당쉽게 말해 경제모형이란 현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화한 것입니다. 예컨대 상품의 가격이 상승했을 때 시장 수요량이 줄었다면, 우하향하는 형태의 그래프 및 방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죠. (수요·공급이론에서 다루겠지만, D=a-bP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경제모형을 이용하면 그만큼 이론의 간결함과 엄밀한 논리 전개가 가능해집니다.변수 (Variable)어떤 관계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가정 (assumption)어떤 조건을 임시로 내세움가설 (hypothesis)주어진 연구 문제에 대한 예측적 해답변수란 Variable, 즉 여러 가지 다른 값을 취하는 수를 말합니다. 경제학에서는 a, b와 같이 알파벳을 주로
관리자
2025-03-30
24
3
[제1장 경제학] 03. 기회비용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가 다루는 경제학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을 중시합니다. 이에 관련한 개념이 두 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앞서 다뤘던 ‘희소성’이고, 다른 하나가 이번에 소개할 기회비용입니다. 즉 희소성이 합리적 선택의 이유라면, 기회비용은 합리적 선택의 방법인 셈이죠.기회비용 (Opportunity Cost)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의 가치흔히 인간의 욕구는 무한하다고 합니다. 설령 유한하다고 한들, 그 욕구의 크기에 비해 필요한 자원은 한정되어 있는 게 사실이죠. 우리는 이를 ‘희소성’으로 살펴본 바 있습니다. 그렇기에 희소한 자원을 어느 곳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게 매우 중요한데요. 즉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러 수단 중에서 하나를 고를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선택은 필연적으로 선택된 욕구와 선택되지 못한 (즉 선택을 포기한) 욕구들로 나뉘게 되겠죠? 이 때 포기해 버린 선택의 욕구들로부터 예상되는 유ㆍ무형의 이익 중 최
관리자
2024-12-14
50
2
[제1장 경제학] 02. 경제체제
이번 글에서는 경제체제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더 정확히 말하면 지금의 대한민국 경제를 가리켜 ‘자본주의 시장경제’라는 표현을 쓰곤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자본주의, 그리고 시장경제란 무엇일까요? 물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란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경제체제란 인적·물적 자원을 배분하는 방식의 특징을 통합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러한 경제의 ‘체제’, 즉 “경제체제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에는 비교적 명확하게 답할 수 있는데요, 이는 우리의 역사 속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바로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사회주의 경제체제, 그리고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입니다.자본주의 (Capitalism)생산 수단을 자본으로서 소유한 자본가가 이윤 획득을 위하여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사회주의 (Socialism)사유 재산 제도를 폐지하고 생산 수단을 사회화하여 자본주의 제도의 사회적ㆍ경제적 모순을
관리자
2024-12-11
45
1
[제1장 경제학] 01. 경제학
지금부터 우리는 경제학이라는 학문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그에 앞서 제가 한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하는데요. 여러분께서 이 책을 통해 경제학을 학습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는 “경제학을 배우는 목적이 무엇인가?”라는 건데요. 경제학을 살펴봄에 앞서 이 점을 짚어보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바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이죠. 만약 여러분께서 경제에 관련된 기초 지식이 전혀 없는 상황인데, 당장 자격시험이라든지 취업 등을 준비하고자 이 책을 펼쳐 보셨다면 저는 여러 분에게 ‘매우 잘한 선택’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이 책은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였기 때문입니다. 반면 어느 정도 경제학을 학습한 경험이 있다면, 굳이 이 책을 볼 필요 없이 곧장 실전 단계로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이 점을 알아두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학습을 시작해나가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경제학은 크게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구분됩니다. 이중 개별 경제주체에
관리자
2024-12-10
53
1
글쓰기
7
[제2장 미시경제학] 02. 미시경제학의 구조
이번 글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배워나갈 미시경제학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볼 것입니다. 아래 그림은 이 책의 구성과도 일치하므로, 미시경제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경제학은 그 특성상 용어와 그래프로 인해 학습 도중 방향을 잃기 쉬운데요, 그럴 때마다 아래 내용들을 떠올리면서 학습해나가시길 바랍니다.미시경제학의 전체적인 구조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다수의 경제학 전공서도 위와 유사한 구성을 따른다. 특히 연결선을 주의 깊게 살펴보도록 하자.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에 이어 다룰 이론이 수요·공급이론입니다. 수요·공급을 통해 우리는 수요자, 공급자, 시장구조(균형)를 접하며 이를 바탕으로 뒤이어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시장이론을 학습합니다. 이러한 미시경제학의 영역이 점차 확장된 것이 지금의 구성에 이릅니다. 제1편 경제학• 경제학을 처음으로 접하는 단계 • 선택, 기회비용, 희소성 등 개념들이 여기에 해당함 • 전반적인 구조와 흐름을 이해하는 것에
관리자(admin)
2025-04-02
31
6
[제2장 미시경제학] 01. 미시경제학
첫 장에서 우리는 “경제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갖고 이에 관련된 주요 개념들을 알아보 았습니다. 이번에 살펴볼 내용은 바로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미시경제학에 관한 것입니다. 사실 앞서 다뤘던 내용들은 미시경제학이라기보다 경제학 전체(미시경제학+거시경제학, 경제학 전반에 걸친 기본적 개념)에 가까웠던 게 사실이죠. 그렇기에 우리는 미시경제학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미시경제학만이 갖는 주요 특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개별 시장의 선택과 가격 결정 분석 등을 기초로 구체적인 경제 행위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학문 • 미시경제학은 가계와 기업 등의 개별경제주체들 간의 행위와 상호영향 등에 따른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 각 시장구조에서의 균형점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하고 연구한다.• 시장은 수요자와 공급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수요자와 공급자는 특정한 시장구조 내에서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미시경제학의 주된
관리자(admin)
2025-04-01
26
5
[제1장 경제학] 05. 생산가능곡선
그동안 우리는 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 다룰 생산가능곡선 또한 기본 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서 다룬 내용과 비슷한데요. 다만 한 가지 다른 점은 그 형태가 그래프라는 데에 있습니다. 사실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 ‘그래프’라는 이유만으로 생산가능곡선을 어렵게 느끼곤 합니다. 그런데 우리 경제학은 대다수의 이론을 그래프와 수식으로 설명하고 있습 니다. 좋든 싫든 그래프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앞으로 다룰 그래프 대부분이 생산가능곡선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한번 학습할 때 정확히 정리해두면 진행이 한결 수월해집니다. ‘X’와 ‘Y’라는 두 축, 그리고 곡선의 형태 등 하나하나에 신경 써가며 읽어볼 것을 권합니다.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Possibility Curve, PPC)경제 내의 모든 생산요소를 가장 효율적으로 투입했을 때 최대로 생산 가능한 X재와 Y재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생산가능곡선의 일반적인 형태경제활동
관리자(admin)
2025-03-31
24
4
[제1장 경제학] 04. 경제용어
경제학에서는 다양한 그래프와 수식, 그리고 경제용어가 등장합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알아 두어야 할 내용만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합니다.경제모형경제 변동의 정도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추정하여 놓은 도식. 그래프, 방정식 등이 해당쉽게 말해 경제모형이란 현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화한 것입니다. 예컨대 상품의 가격이 상승했을 때 시장 수요량이 줄었다면, 우하향하는 형태의 그래프 및 방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죠. (수요·공급이론에서 다루겠지만, D=a-bP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경제모형을 이용하면 그만큼 이론의 간결함과 엄밀한 논리 전개가 가능해집니다.변수 (Variable)어떤 관계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가정 (assumption)어떤 조건을 임시로 내세움가설 (hypothesis)주어진 연구 문제에 대한 예측적 해답변수란 Variable, 즉 여러 가지 다른 값을 취하는 수를 말합니다. 경제학에서는 a, b와 같이 알파벳을 주로
관리자(admin)
2025-03-30
24
3
[제1장 경제학] 03. 기회비용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가 다루는 경제학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을 중시합니다. 이에 관련한 개념이 두 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앞서 다뤘던 ‘희소성’이고, 다른 하나가 이번에 소개할 기회비용입니다. 즉 희소성이 합리적 선택의 이유라면, 기회비용은 합리적 선택의 방법인 셈이죠.기회비용 (Opportunity Cost)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의 가치흔히 인간의 욕구는 무한하다고 합니다. 설령 유한하다고 한들, 그 욕구의 크기에 비해 필요한 자원은 한정되어 있는 게 사실이죠. 우리는 이를 ‘희소성’으로 살펴본 바 있습니다. 그렇기에 희소한 자원을 어느 곳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게 매우 중요한데요. 즉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러 수단 중에서 하나를 고를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선택은 필연적으로 선택된 욕구와 선택되지 못한 (즉 선택을 포기한) 욕구들로 나뉘게 되겠죠? 이 때 포기해 버린 선택의 욕구들로부터 예상되는 유ㆍ무형의 이익 중 최
관리자(admin)
2024-12-14
50
2
[제1장 경제학] 02. 경제체제
이번 글에서는 경제체제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더 정확히 말하면 지금의 대한민국 경제를 가리켜 ‘자본주의 시장경제’라는 표현을 쓰곤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자본주의, 그리고 시장경제란 무엇일까요? 물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란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경제체제란 인적·물적 자원을 배분하는 방식의 특징을 통합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러한 경제의 ‘체제’, 즉 “경제체제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에는 비교적 명확하게 답할 수 있는데요, 이는 우리의 역사 속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바로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사회주의 경제체제, 그리고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입니다.자본주의 (Capitalism)생산 수단을 자본으로서 소유한 자본가가 이윤 획득을 위하여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사회주의 (Socialism)사유 재산 제도를 폐지하고 생산 수단을 사회화하여 자본주의 제도의 사회적ㆍ경제적 모순을
관리자(admin)
2024-12-11
45
1
[제1장 경제학] 01. 경제학
지금부터 우리는 경제학이라는 학문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그에 앞서 제가 한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하는데요. 여러분께서 이 책을 통해 경제학을 학습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는 “경제학을 배우는 목적이 무엇인가?”라는 건데요. 경제학을 살펴봄에 앞서 이 점을 짚어보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바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이죠. 만약 여러분께서 경제에 관련된 기초 지식이 전혀 없는 상황인데, 당장 자격시험이라든지 취업 등을 준비하고자 이 책을 펼쳐 보셨다면 저는 여러 분에게 ‘매우 잘한 선택’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이 책은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였기 때문입니다. 반면 어느 정도 경제학을 학습한 경험이 있다면, 굳이 이 책을 볼 필요 없이 곧장 실전 단계로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이 점을 알아두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학습을 시작해나가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경제학은 크게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구분됩니다. 이중 개별 경제주체에
관리자(admin)
2024-12-10
53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