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admin)2024.12.25 17:02:36
관리자(admin)2024.12.14 09:39:17
관리자(admin)2024.10.31 19:53:38
관리자(admin)2024.10.27 13:24:41
관리자(admin)2024.10.23 17:28:06
관리자(admin)2024.10.13 13:45:28
1 [경제학그래프] 1. 생산가능곡선※ 경제학에서 다루는 그래프만 선별해서 포스팅합니다. 난이도는 꽤 높은, 그러니까 복잡한 그래프까지 모두 다룰 계획이고요.^^; 그만큼 설명을 최대한 상세히 덧붙일 예정입니다. 경제학 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아마 수험생이 최초로 접할 경제 그래프가 아닐까 생각한다. 생산가능곡선은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글자 그대로 생산이 가능한(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양을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영어가 등장했는데 “굳이 영어까지 알 필요 있나, 그냥 ‘생산가능곡선’만 읽고 가야겠다.” 하는 건 그리 권장하지 않는다. 학습할 때는 ‘PPC의 특징, PPC의 이동’ 이런 식으로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일단 그래프 모양부터 알아보자. 우리가 원점이라고 부르는 O 지점이 있고, 두 축이 있다. 두 축은 그냥 가로축, 세로축으로 부르면 된다. 여기서는 X, Y가 주어졌기에 각각 X축, Y축이라고 한다. 또 중요한 것이, 지금 가로축과 세로축, 그러니까 관리자(admin)2024.10.12 10:57:11